Arista Networks, Inc.

아리스타 네트웍스

10-Q 분기 보고서

CIK: 0001596532 티커: ANET 제출일: 11/5/2025 원문보기

Arista Networks, Inc. (ANET) 2025년 3분기 실적 분석 리포트

I. 최근 분기 핵심 요약

Arista Networks는 2025년 3분기, AI 및 클라우드 네트워킹 제품에 대한 강력한 수요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27.5% 증가한 23억 83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순이익 또한 14.0% 증가한 8억 5,300만 달러를 달성했으나, 신제품 개발 및 영업 인력 확충에 따른 비용 증가로 매출 성장률에는 미치지 못했습니다. 회사는 AI 시장의 성장에 따른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나, 동시에 Microsoft와 Meta 등 소수 대형 고객에 대한 높은 의존도와 지정학적 긴장에 따른 공급망 리스크는 주요 현안으로 남아있습니다.

II. 주요 재무 지표 변화 분석

손익 및 현금흐름 분석 (전년 동기 대비)

2025년 3분기(전년 동기 대비) 및 2025년 1-3분기 누적(전년 동기 대비) 실적은 모두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제품 및 서비스 매출 모두 고르게 성장하며 회사의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지표 (단위: 백만 달러) 2025년 3분기 2024년 3분기 변화율 핵심 변화 원인
총 매출 2,308.3 1,810.9 +27.5% 스위칭 및 라우팅 플랫폼 수요 증가
제품 매출 1,911.7 1,523.8 +25.5% 클라우드 및 AI 고객사의 수요 확대
서비스 매출 396.6 287.1 +38.1% 고객 설치 기반 확장에 따른 지원 계약 증가
매출 총이익 1,490.2 1,161.7 +28.3% 매출 증가에 따른 이익 확대
영업이익 978.2 785.3 +24.6% 매출 총이익 증가 (R&D 및 마케팅 비용 증가로 일부 상쇄)
순이익 853.0 748.0 +14.0% OBBB 법안 관련 일회성 세금 비용 발생
영업활동 현금흐름 (9개월 누적) 3,110.0 2,677.3 +16.2% 순이익 증가 및 이연수익 증가

상세 분석:

  • 매출 성장: 3분기 총 매출은 27.5% 증가했으며, 특히 서비스 매출이 38.1% 급증했습니다. 이는 신규 고객 확보와 함께 기존 고객 기반이 확대되면서 유지보수 및 지원 계약(PCS)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지역별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매출이 64.4% 급증하며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 수익성: 매출 총이익률은 64.6%로 전년 동기(64.2%)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그러나 영업이익률은 R&D 비용(38.3% 증가)과 영업/마케팅 비용(41.6% 증가)이 크게 늘면서 다소 압박을 받았습니다. 이는 AI와 같은 신규 시장 공략을 위한 인력 충원 및 신제품 개발 투자가 확대되었기 때문입니다.
  • 순이익 및 세금: 순이익 증가율(14.0%)이 매출이나 영업이익 증가율보다 낮은 이유는 유효세율 증가 때문입니다. 2025년 7월 4일 제정된 OBBB(One Big Beautiful Bill) 법안의 영향으로 이연법인세 부채가 재측정되면서 일회성 세금 비용이 발생하여, 3분기 유효세율이 20.8%로 전년 동기(15.3%) 대비 상승했습니다.
  • 현금흐름: 9개월 누적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순이익 증가와 이연수익의 큰 폭 증가(18억 달러)에 힘입어 31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고객과의 장기 계약이 안정적으로 현금 유입에 기여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재무상태 분석 (전년 연말 대비)

2025년 9월 30일 기준, 회사의 자산과 부채, 자본은 모두 연초 대비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는 사업 확장과 수익성 개선이 재무구조에 긍정적으로 반영된 결과입니다.

지표 (단위: 백만 달러) 2025년 9월 30일 2024년 12월 31일 변화율 핵심 변화 원인
총자산 18,048.8 14,043.9 +28.5% 유동성 시장성 증권 및 매출채권 증가
현금 및 현금성자산 2,326.6 2,762.4 -15.8% 자사주 매입 및 VeloCloud 인수에 따른 현금 사용
유동성 시장성 증권 7,779.6 5,541.1 +40.4% 영업활동으로 창출된 현금을 단기 투자자산으로 운용
총부채 6,141.7 4,049.1 +51.7% 이연수익의 큰 폭 증가
이연수익 (유동+비유동) 4,686.2 2,791.4 +67.9% 장기 서비스 계약 및 제품 수주 증가
총자본 11,907.1 9,994.8 +19.1% 순이익 증가에 따른 이익잉여금 확대

상세 분석:

  • 자산 건전성: 총자산은 28.5% 증가하며 외형적 성장을 뒷받침했습니다. 특히 유동성 시장성 증권이 40.4% 증가한 것은, 회사가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풍부한 현금을 적극적으로 운용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반면, 현금성 자산은 VeloCloud 인수($3억) 및 자사주 매입($9.83억)으로 인해 감소했습니다.
  • 부채 구조: 총부채가 51.7% 증가했지만, 이는 대부분 선수금 성격인 '이연수익’의 급증(67.9% 증가)에 기인합니다. 이연수익은 미래에 매출로 인식될 금액으로, 부채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사업의 선행 지표로서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 자본 성장: 순이익이 꾸준히 누적되면서 이익잉여금이 91억 달러로 증가했고, 이는 총자본의 19.1% 성장으로 이어졌습니다. 이는 회사의 지속적인 수익 창출 능력을 증명합니다.

III. 단기적 위험 및 현안

보고서에 따르면 Arista Networks는 여러 단기적 위험에 직면해 있으며, 이는 향후 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소수 고객 의존도 및 수요 변동성: 매출의 상당 부분이 Microsoft(2024년 매출의 20%)와 Meta(2024년 매출의 15%)로부터 발생합니다. 이들 대형 고객이 AI 관련 인프라 투자를 우선순위로 두면서 기존 네트워크 장비 구매 계획을 변경하거나 축소할 경우, Arista의 매출은 예측하기 어려운 변동성을 보일 수 있습니다. 특히 AI 시장의 장기적인 성장 궤도가 아직 불확실하여 관련 제품의 수요 예측이 어렵고, 이는 재고 관리의 위험을 높입니다.
  • 공급망 및 지정학적 리스크: 제품 생산에 필수적인 스위칭 칩을 Broadcom과 같은 소수의 공급업체에 크게 의존하고 있습니다. 미-중 무역 갈등, 관세 정책 변화, 중국의 핵심 광물 수출 통제 등 지정학적 긴장은 부품 수급 불안정이나 원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회사의 매출 총이익률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 치열한 시장 경쟁: 데이터센터 및 AI 네트워킹 시장은 Cisco, Hewlett Packard Enterprise 등 기존의 강력한 경쟁자와 신규 진입자들이 혼재하여 경쟁이 매우 치열합니다. 특히 AI 시장에서는 InfiniBand와 같은 대체 기술과의 경쟁도 존재합니다. 경쟁 심화는 가격 인하 압력으로 작용하여 수익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 법적 소송: 회사는 사업 과정에서 지적 재산권 분쟁 등 다양한 법적 소송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소송들은 일상적인 사업 과정의 일부로 관리되고 있으며,現 단계에서 재무 상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지는 않습니다.

IV. 종합 평가 및 투자 시사점

1. 종합 평가

Arista Networks는 AI 시대의 도래와 함께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네트워크 수요의 핵심 수혜자로서 강력한 성장 모멘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클라우드 및 대규모 데이터센터 시장에서의 높은 기술력과 시장 지위를 바탕으로 3분기에도 인상적인 매출과 이익 성장을 달성했습니다. 회사는 AI라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R&D 투자를 확대하고 VeloCloud와 같은 전략적 인수를 단행하며 미래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의 이면에는 명확한 리스크 요인들이 존재합니다. Microsoft와 Meta라는 두 거대 고객에 대한 높은 매출 의존도는 이들의 투자 전략 변화에 따라 회사 전체 실적이 흔들릴 수 있는 구조적 취약점입니다. 또한, AI 네트워킹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이激화되고 있으며, Broadcom 등 핵심 부품 공급사에 대한 의존 및 미-중 무역분쟁과 같은 외부 변수는 원가와 공급 안정성에 지속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2. 투자자를 위한 관전 포인트

  • AI 관련 제품의 시장 침투율: Arista가 야심 차게 출시한 AI 이더넷 제품군이 InfiniBand 등 경쟁 기술 대비 얼마나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는지가 향후 성장률을 결정할 핵심 변수입니다. 다음 실적 발표에서 AI 관련 매출 기여도와 신규 고객 확보 성과를 주목해야 합니다.
  • 대형 고객 매출 변동 및 고객 다변화 추이: Microsoft와 Meta의 매출 비중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합니다. 이들로부터의 매출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가운데, 엔터프라이즈 및 캠퍼스 네트워크 시장에서의 신규 고객 확보를 통해 매출 기반이 다변화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매출 총이익률(Gross Margin) 추세: 치열한 경쟁과 공급망 비용 변동 속에서 회사가 가격 결정력을 유지하고 있는지 판단하는 핵심 지표는 매출 총이익률입니다. 제품 믹스 변화(고수익 소프트웨어/서비스 비중)와 원가 관리 능력이 이익률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이익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한다면, 경쟁 심화나 비용 압박이 예상보다 크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info 본 보고서는 SEC 공시 자료를 바탕으로 AI가 생성한 분석 결과이며,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내용에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KOSPD는 이 정보의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 결정에 대한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KOSPD는 이용자의 투자 결과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info KOSPD의 모든 내용은 단순히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본 사이트에서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KOSPD는 이용자의 투자 결과에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